자양동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양동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속하는 지역으로, 과거 암말 목장이었던 "자마장"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조선 시대에는 한강 유역의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암말을 사육하여 말을 기르는 곳으로 유명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자양동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이후 서울시 성동구에 편입되었다가 광진구로 편입되었다. 현재는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어 있고, 광진구청, 광진문화예술회관 등 주요 시설과 교통의 요충지로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광진구의 행정 구역 - 광장동
광장동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하며, 아차산과 한강에 인접하고 워커힐 쉐라톤 호텔, AX홀 등 다양한 시설과 서울 지하철 5호선 광나루역이 있는 지역이다. - 서울 광진구의 행정 구역 - 구의동
구의동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하며 아차산 기슭에서 한강까지 이르는 지형적 특징을 가진 동으로, 아파트 단지와 재개발 사업을 통해 주거 환경이 변화했고, 한국 근대 정수 기술의 역사를 보여주는 서울 구의정수장이 위치해 있다. - 서울 광진구의 법정동 - 광장동
광장동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하며, 아차산과 한강에 인접하고 워커힐 쉐라톤 호텔, AX홀 등 다양한 시설과 서울 지하철 5호선 광나루역이 있는 지역이다. - 서울 광진구의 법정동 - 구의동
구의동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하며 아차산 기슭에서 한강까지 이르는 지형적 특징을 가진 동으로, 아파트 단지와 재개발 사업을 통해 주거 환경이 변화했고, 한국 근대 정수 기술의 역사를 보여주는 서울 구의정수장이 위치해 있다. - 1978년 폐지 - 시카고 데일리 뉴스
시카고 데일리 뉴스는 1875년 창간되어 19세기 후반 시카고에서 가장 널리 읽힌 일간 신문이었으며, 혁신적인 시도와 시카고 데일리 뉴스 빌딩 건립으로 전성기를 누렸으나 1978년 폐간, 13번의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 1978년 폐지 - 블랙이글스
블랙이글스는 대한민국 공군의 상설 특수비행팀으로, 다양한 기종을 거쳐 국산 초음속 항공기 T-50B를 운용하며 국내외 에어쇼에서 활약하고, 안전사고를 겪기도 했다.
자양동 (서울)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자양동 |
한글 표기 | 자양동 |
한자 표기 | 紫陽洞 |
로마자 표기 | Jayang-d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ayang-tong |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면적 | |
전체 면적 | 3.39 km² |
인구 | |
총 인구 (2001년) | 87,567명 |
자양제1동 정보 | |
이름 | 자양제1동 |
한자 표기 | 紫陽第1洞 |
영문 표기 | Jayang 1(il)-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광진구 |
![]() | |
면적 | 0.57 km² |
세대 (2017년 6월 30일) | 10,929 |
인구 (2022년 2월) | 22,217명 |
법정동 | 자양동 |
통 | 26 |
반 | 213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13길 37 |
홈페이지 | 자양제1동 주민센터 |
자양제2동 정보 | |
이름 | 자양제2동 |
한자 표기 | 紫陽第2洞 |
영문 표기 | Jayang 2(i)-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광진구 |
![]() | |
면적 | 1.68 km² |
세대 (2017년 6월 30일) | 11,148 |
인구 (2022년 2월) | 24,537명 |
법정동 | 자양동 |
통 | 26 |
반 | 213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3가길 26 |
홈페이지 | 자양제2동 주민센터 |
자양제3동 정보 | |
이름 | 자양제3동 |
한자 표기 | 紫陽第3洞 |
영문 표기 | Jayang 3(sam)-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광진구 |
![]() | |
면적 | 1.20 km² |
세대 (2017년 6월 30일) | 10,974 |
인구 (2022년 2월) | 16,076명 |
법정동 | 자양동 |
통 | 25 |
반 | 244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광진구 뚝섬로 568 |
홈페이지 | 자양제3동 주민센터 |
자양제4동 정보 | |
이름 | 자양제4동 |
한자 표기 | 紫陽第4洞 |
영문 표기 | Jayang 4(sa)-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광진구 |
![]() | |
면적 | 1.16 km² |
세대 (2017년 6월 30일) | 11,093 |
인구 (2022년 2월) | 17,957명 |
법정동 | 자양동 |
통 | 26 |
반 | 160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광진구 뚝섬로26길 58 |
홈페이지 | 자양제4동 주민센터 |
2. 역사
조선 시대 장양동의 지명은 "자마장(雌馬場)"이었는데, 이는 "암말 목장"을 뜻한다. "자마장"은 암말을 가리키는 말이다. 조선 초기에는 말 천 마리를 기르면 용마라는 상상 속의 동물이 태어난다는 전설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여러 지역에서 말 사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장양동은 한강을 따라 비옥한 토사가 흘러 쌓인 지역으로 광활한 자연 목장이 있어 말을 방목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 결과 이 지역에서는 많은 암말이 사육되었다. 목장에 암말이 많으면 번식을 통해 대량으로 말을 기르는 데 유리하다. "자마장"은 후에 "자마장리(雌馬場里)"로 바뀌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마(馬)"의 한자 자(馬)가 자(紫)로 바뀌면서 현재의 장양동이 되었다.
2. 1. 연혁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군 고양주면(古楊州面) 자마장리 율동(栗洞)의 일부였다. 당시 자양동의 지명은 "자마장(雌馬場)"이었는데, 이는 "암말 목장"을 뜻한다. 조선 초기에는 말 천 마리를 기르면 용마(龍馬)라는 상상 속의 동물이 태어난다는 전설이 있었고, 자양동은 한강을 따라 비옥한 토사가 쌓여 말을 방목하기에 유리하여 많은 암말이 사육되었다.[3] 1914년 경기도 고양군 독도면(纛島面) 자마장리로 소속이 변경되었다.[3] 1936년 자마장리에서 자양리(紫陽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3] 1949년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양리로 편입되었다.[3] 1950년 자양리에서 자양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3] 1970년 5월 18일 신양동에서 자양동으로 다시 명칭이 변경되었다.[3] 1973년 7월 1일에는 자양동이 잠실동으로 분리되었다.[3] 1995년 3월 1일 광진구가 성동구로부터 분리되면서 광진구 관할로 편입되었다.[3] 2008년 1월 1일 노유1동과 노유2동이 자양4동으로 통합되었고, 2008년 8월 4일 법정동 노유동이 자양동에 흡수되었다.[3]2. 2. 자양4동(노유동, 老遊洞) 지역의 역사
자양4동은 원래 성수동2가의 일부였다. 1949년 서울시로 편입되었으며, 1973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784호로 성수동2가제2동이라는 행정동이 설치되었다. 1985년 서울특별시조례 제2015호로 성수2가제4동을 분리했으며, 1995년 3월 1일 광진구에 편입되면서 법정동 노유동이 설치되고, 성수동2가2동을 노유1동, 성수동2가4동을 노유2동으로 바꾸었다. 이후 2008년 1월 1일 행정동명을 자양4동으로 바꾸고 8월 4일 법정동 노유동을 폐지하여 자양동에 합쳤다.조선 시대 장양동의 지명은 "자마장(雌馬場)"이었는데, 이는 "암말 목장"을 뜻한다. "자마장"은 암말을 가리키는 말이다. 조선 초기에는 말 천 마리를 기르면 용마(龍馬)라는 상상 속의 동물이 태어난다는 전설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여러 지역에서 말 사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장양동은 한강을 따라 비옥한 토사가 흘러 쌓인 지역으로 광활한 자연 목장이 있어 말을 방목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 결과 이 지역에서는 많은 암말이 사육되었다. 목장에 암말이 많으면 번식을 통해 대량으로 말을 기르는 데 유리하다. "자마장"은 후에 "자마장리(雌馬場里)"로 바뀌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마(馬)"의 한자 자(馬)가 자(紫)로 바뀌면서 현재의 장양동이 되었다.
2. 3. 지명 유래
자양동의 조선시대 지명은 암말을 뜻하는 "자마(雌馬)"를 사용한 "자마장(雌馬場)"이었다.[4][5] 조선 초기에는 말 1천 마리를 기르면 용마(龍馬)가 난다는 설이 퍼져 여러 지역에서 말을 대량으로 기르는 데에 관심이 많았다.[4][5] 이곳은 한강을 통해 비옥한 퇴적물이 흘러들어와 쌓인 지역이었기에 자연 벌판이 많았고, 말을 방목하기에 유리하여 실제 암말을 많이 길렀다.[4][5] 목장에 암말이 많아야 번식을 통해 쉽게 대량으로 말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자마장이란 지명은 추후 "자마장리(雌馬場里)"로 바뀌었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자" 음에 대한 한자가 紫로 변해 지금의 자양동이란 이름으로 바뀌었다.[4][5]2. 4. 차이나타운
자양동의 서쪽 바로 옆에 붙어 있는 성동구의 성수동에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이 일하는 공장 일대가 있는데, 이곳에 중국인 분포가 늘어나면서 자양동에 거주 지역, 소규모의 차이나타운(Chinatown)이 생겨났다.[4][5][6] 공장 일대와 가까우면서 교통이 편하고 집값이 싼 곳을 찾다가 자연스럽게 이곳에 정착하게 되었으며, 건국대학교와 세종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 중국인 유학생이 늘면서 이곳에 숙소를 마련하는 빈도도 증가하였다.[4][5][6] 2000년대 말, 인근 화양동 등지에 거주하는 이들까지 합해 약 8,000 명에 이르며, 순수 중국인과 조선족 동포들이 고루 분포하고 있다.[4][5][6] 차이타타운 내의 차이나 거리는 양꼬치(뀀) 등 중국 음식점이 즐비하게 늘어선 거리로서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현지화되면서 한국인들까지 많이 찾는 번화가가 되었다.[4][5][6]3. 문화
3. 1. 문화재
광양고등학교 인근 한강변에는 조선 태종이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거처했던 낙천정(樂天亭)이라는 정자가 있다. 낙천정은 "하늘의 뜻을 알아 즐겨노니 근심이 없다."라는 뜻이다. 현재 낙천정은 당시 지어진 정자가 아닌, 원래 위치에서 200m 정도 떨어진 곳에 1991년 새로 복원한 것이다. 현재 정확한 주소는 673번지이다.[5]4. 주요 시설
광진구청, 광진구의회, 노유산치안센터, 자양지구대, 자양1지구대, 자양2치안센터 등의 관공서가 있다. 광진구보건소, 광진문화예술회관, 동서울우편집중국, 자양동우체국, 미래창조과학부 지식정보센터 등의 공공시설과 혜민병원이 있다. 한강시민공원 뚝섬지구가 있으며, 노룬산시장, 자양종합시장과 같은 시장도 위치해 있다. KT 광진지사, KT 서울무선전신국, KT 수도권강북본부, KT 기간망건설국과 같은 기업 및 법인이 위치해 있다. 광양중학교, 광진중학교, 광양고등학교, 건국대학교 부속중학교, 건국대학교 부속고등학교, 동자초등학교, 성자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 신양초등학교, 신양중학교, 신자초등학교, 양남초등학교, 자양초등학교, 자양중학교, 자양고등학교가 있다.
4. 1. 관공서
4. 2. 공공시설
4. 3. 의료시설
4. 4. 공원
4. 5. 시장
4. 6. 기업 / 법인
4. 7. 교육 시설
5. 교통
자양동은 도로와 대중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다. 동 중심부를 뚝섬길과 쉼터길이 십자 형태로 가로지르며, 자양1동은 아차산로가 동을 가로지른다. 동일로를 통해 영동대교와, 자양로를 통해 잠실대교와 연결되어 강남구 청담동, 송파구 신천동, 잠실동과 연결된다. 화양동, 구의동도 경계로 맞닿아 있다.
아차산로, 뚝섬로, 자양번영로, 자양로, 능동로, 자양강변길 등에서 서울 시내 각지로 연결되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아차산로를 따라 지나가지만, 동 내에 역은 없어 건대입구역, 구의역, 강변역을 이용해야 한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자양역이 자양3동과 자양4동을 통과하며 경계를 이룬다.
5. 1. 도로
5. 2. 대중교통
6. 주거 시설
6. 1. 아파트
wikitable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자양현대 5단지 | 현대산업개발 | 광진구 뚝섬로54길 74 | 1998년 6월 | ||
자양 현대홈타운 7단지 | 현대건설 | 한전자양주택조합 외 2개조합 | 광진구 능동로4길 41 | 2001년 5월 입주 | |
자양 현대홈타운 8단지 | 자양2지구 재건축 주택조합 | 광진구 뚝섬로36길 19 | 2002년 5월 | ||
자양 현대홈타운 10단지 | 현대건설 | 광진구 뚝섬로34길 25-19 | 2002년 10월 |
- 자양우성 7차 - 우성건설 / 1998년 7월 입주
- 롯데캐슬 리버파크 시그니처 - 롯데건설 / 2023년 7월 입주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22
[2]
웹사이트
The origin of Jayang-dong
http://www.gwangjin.[...]
Gwangjin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22
[3]
법률
구조례 제584호 동명칭 및 구역획정 조례
2008-08-04
[4]
뉴스
테마 스토리 서울 - 자양동 양꼬치 거리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9-12-00
[5]
뉴스
우리 동네 옛 이야기 - 광진구 자양동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8-00
[6]
뉴스
자양동 차이나 거리서 음식점 문화 개선 운동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0-08-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